본문 바로가기

News/Fun news

스마트폰 요금제가 인상 주범!! 스마트폰 잘못 쓰면 독!!


ㆍ스마트하려다 허리가 휜다

‘손안의 컴퓨터’로 불리는 스마트폰의 확대 보급을 계기로 ‘바가지 통신료’ 문제가 다시 화두로 등장했다. 일반 가계의 통신비 부담은 사상 최고치 행진을 거듭하고 있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소비자물가 탓에 서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지만, 한 번 오른 통신비는 요지부동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통신료 20% 인하가 무색한 실정이다. 요지경 속 통신비의 실태와 문제점을 시리즈로 세 차례에 걸쳐 싣는다.

지난해 말 스마트폰을 구입한 회사원 ㅈ씨는 한달 뒤 요금청구서를 받아들고는 깜짝 놀랐다. 5만5000원짜리 정액요금제에 가입했지만 명세서에 찍힌 요금은 13만원을 넘었다. 무료 음성통화(300분)를 초과해 사용한 데다 단말기 할부금이 들어간 탓이다. ㅈ씨는 해당 통신사에 전화했지만 상담원은 “음성통화를 더 하려면 더 비싼 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ㅈ씨는 “이전 휴대전화와 비슷하게 사용했는데도 요금이 2배 이상 많은 것은 말이 안된다”며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스마트폰이 가계통신비 부담의 주범으로 등장했다.

단말기 비용뿐 아니라 통신사들이 책정한 고가의 정액요금제 탓이다. 지난해 말 700만명을 넘긴 스마트폰 가입자는 올해 안에 20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스마트폰은 바가지폰 = 7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의 1인당 매출은 일반 휴대전화 이용자의 2배에 육박한다.

KT의 아이폰4와 SK텔레콤의 갤럭시S 이용자들의 한달 평균 요금은 각 6만5000원과 6만2000원 선이다. LG유플러스 스마트폰 가입자들도 일반 휴대전화 가입자보다 80% 이상의 요금을 더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통신료가 비싼 이유는 통신사들이 책정한 비싼 정액요금제 때문이다. 정액요금제는 이용량과 상관없이 매월 일정한 요금을 납부하는 요금제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92.6%가 매달 4만5000~9만5000원 사이의 정액요금제를 이용한다. 3개 이통사의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한달 평균 3만5000~3만7000원을 내고 있다.

스마트폰을 쓰는 소비자들이 일반 휴대전화 가입자보다 두 배 가까이 많은 요금을 내고 있다는 얘기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는 “통신사들이 정액요금제를 마련하면서 사실상 1만~2만원 이상 요금을 올린 셈”이라며 “최저 정액요금을 ‘담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이용자가 늘어나는 것이 가계통신비 부담을 늘리는 주된 원인”이라고 말했다.

◇ 가중되는 통신비 부담 = 스마트폰 확대 도입 이후 가계통신비 부담은 급증하는 추세다.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4분기 가구당 13만5500원이던 통신비 지출은 스마트폰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같은 해 3·4분기 이후 급증했다. 2010년 2·4분기에는 14만5100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2·4분기의 월 평균 소비지출 가운데 통신서비스 부담은 7.35%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문제는 앞으로도 통신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통사들이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를 5만5000원짜리 이상 요금제로 제한하면서 상위 요금제로 이동하려는 고객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요금제는 4만5000원짜리(34.4%)지만 5만5000원 요금제도 29%에 달한다. 5만5000원짜리 비중은 지난해 7월보다 19.1%포인트나 높아졌다. 5만5000원 미만 요금제를 선택할 경우 단말기 종류도 극히 일부 모델로 한정되면서 사실상 5만5000원 요금제가 스마트폰 ‘표준 요금’으로 정착되는 추세다.

통신사들의 얄팍한 상혼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이통사들은 기본 음성통화량을 낮게 잡고 데이터를 이용하는 통화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제한하면서 상위 요금제로의 이동을 유도하고 있다. 스마트폰 정액요금제는 중복할인을 금지해 각종 통화료 할인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돼 있다. 현재 14%(700만대) 수준인 스마트폰 보급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여서 통신비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당초 이통사들이 정액요금제를 정할 때 스마트폰 이용자가 크게 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요금을 결정했기 때문에 이용자가 늘어난 만큼 요금을 낮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진걸 참여연대 민생희망팀장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계지출 대비 통신비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라며 “정액요금제에 포함된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요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한계비용이 낮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본료를 없애거나 요율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통사들은 요지부동이다.

이통사의 한 관계자는 “통신료를 내리면 내린 만큼 통신 이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인하효과가 별로 없다”면서 “스마트폰 가입자 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금액을 인하할 여지가 있지만 당분간은 투자가 계속해서 이뤄지는 만큼 요금 인하는 힘들다”고 말했다.

놀란 ㅈ씨는 이동통신사에 전화했지만 상담원은 음성통화를 더 하기 위해서는 더 고가의 정액요금제에 가입해야 한다고 답했다. ㅈ씨는 “이전과 비슷하게 요금을 낼 것으로 생각했는데 할부금을 포함하더라도 내는 금액이 너무 오른 것 같다”며 황당해했다.

스마트폰이 가계통신비 증가의 주범이 되고 있다. 스마트폰 단말기 비용부담뿐 아니라 통신사들이 책정한 고가의 정액요금제 탓이다. 지난해 말 700만대가 국내 보급된 스마트폰은 연내 2000만대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가계통신비 부담을 가중시킬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정부의 대선공약이었던 ‘가계통신비 20% 인하’ 목표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KT와 SK텔레콤 등 국내 이동통신사 스마트폰 이용자의 1인당 매출(ARPU)은 일반 휴대전화 이용자의 일인당매출을 크게 뛰어넘는다.

KT 아이폰4 이용자들의 일인당매출은 6만5000원선, SK텔레콤의 갤럭시S 이용자의 1인당 매출은 6만2000원선이다. LG유플러스 역시 스마트폰 가입자들이 일반 휴대전화 가입자의 매출보다 80% 이상 높은 요금을 매달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스마트폰 이용자의 일인당 매출이 높은 이유는 통신사들이 책정한 고가의 정액요금제 때문이다. 정액요금제는 이용량과 상관없이 매월 일정한 요금을 납부하는 요금제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의 92.6%가 매달 4만5000원에서 9만5000원 사이의 정액요금제를 이용하고 있다.

반면 3개 국내 이동통신사의 일반 휴대전화 요금 가입자들이 통신사에 납부하는 요금은 3만5000원~3만7000원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을 쓰는 소비자들이 일반 휴대전화 가입자에 비하면 두 배에 가까운 요금을 내고 있다는 소리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는 “이전의 1인당 매출이 3만5000원대인 것을 감안하면 가입자당 평균 매출을 웃도는 정액요금제를 마련하면서 이통사들이 요금을 사실상 1만~2만원 이상 올린 셈”이라며 “최저 정액요금이 더 내려가지 않는 ‘사실상 담합’ 상태에서 스마트폰 이용자가 늘어나는 것은 가계통신비 증가와 직결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스마트폰 붐이 일면서 가계통신비는 급증됐다. 방통위에서도 스마트폰 급증이 통신비 증가에 영향을 줬다고 인정할 정도다. 통계청 가계동향(실질) 자료에 따르면 2009년 1·4분기 13만5500원이었던 실질 통신비 지출은 스마트폰이 활성화되기 시작한 3·4분기부터 급격히 늘면서 2010년 2·4분기에는 14만5100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2·4분기 월평균 소비지출 가운데 통신서비스 지출이 7.35%를 차지해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이후 가장 높았다.

문제는 향후에도 가계 통신비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이동통신사들이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를 5만5000원짜리 이상 요금제로 제한하면서 상위 요금제로의 이동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스마트폰 요금제는 4만5000원짜리(34.4%)지만 5만5000원 요금제도 29%에 이르러 지난해 7월에 비하면 19.1%포인트나 늘었다. 5만5000원 미만 요금제를 선택할 경우 선택할 수 있는 단말기 종류도 극히 일부 모델로 한정되면서 사실상 5만5000원 요금제가 스마트폰 ‘표준 요금’으로 정착되는 추세다.

통신사들은 또 요금제별 음성통화량을 적게 책정하고 데이터를 이용한 통화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제한하면서 상위 요금제로의 이동을 유도하고 있다. 게다가 스마트폰 정액요금제는 중복할인 금지 원칙이 적용돼 가족들의 이동통신 가입기간에 따라 기본료와 가족간 통화료를 깎아주는 결합상품 등의 할인혜택을 받지 못하게 돼 있다.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700만대로 아직 국내 휴대폰시장의 14%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연내 보급대수에 따라 가계통신비가 또다시 급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시민단체들은 정액요금제를 두고 당초 이통사들이 스마트폰 이용자가 크게 늘지 않을 것을 예상해 책정한 금액인 만큼 인하 여지가 있다고 지적한다.

안진걸 참여연대 민생희망팀장은 “한국은 OECD에서 가계지출 대비 통신비 비중이 가장 높은 나라”라며 “특히 정액요금제에 포함된 음성통화와 문자메시지 요금의 경우 인프라가 구축된지 시간이 지나 한계비용이 많이 낮아진 만큼 기본요금을 없애거나 요율을 더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통사들은 요지부동이다. 한 이동통신사 관계자는 “통신요금이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통신 이용량이 늘어나 인하한 만큼 요금 부담이 줄어들지 않는다”면서 “스마트폰 가입자수가 일정 규모 이상이 되면 금액을 인하할 여지가 있지만 당분간은 투자가 계속해서 이뤄지는 만큼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경향닷컴: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2071638251&code=920401&cp=ptm